산업 공부/2차전지

리포트 - 2차전지 산업 "2차전지를 지배할 4가지 이슈" by NH 주민우 (1/2)

둥이 아버지 2021. 9. 7. 15:25

항상 이렇게 양질의 리포트를 준비하시는 애널리스트 분들께 감사드린다. 

 

2차전지를 지배할 4가지 이슈 by NH 주민우

 

배터리 소재의 탈 중국화

 

양극재의 발전은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하이 니켈 및 원가 절감을 위해 니켈을 포함한 다른 금속의 함량을 높여 코발트 함량을 낮추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알아보았다.

 

https://20200818.tistory.com/26?category=884100 

 

2차전지 산업 공부 #5 - 리튬 이온 배터리 소재 - 양극재(양극 활물질)

아래는 현재 작성 중인 기업 분석 연습 및 개인의 공부 목적으로 작성 중인 보고서의 일부분이며 매주/매도 추천이 아님을 밝힙니다.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ht

20200818.tistory.com

 

양극 활물질을 이루는 금속 중 코발트는 희귀 금속으로 콩고민주화공화국에서 전체 공급의 대략 60%를 차지하고 있고, 노동 착취 등의 문제가 있는 분쟁 광물이고 최근 기사에 따르면 중국의 자원개발 업체가 콩고의 코발트 광산에 25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한다. 코발트는 니켈 가격의 2배 정도 한다고 하며 중국에서 장악하게 된다면 코발트 가격을 좌지우지할 수 있게 되며 LFP를 주로 채용하는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업체와의 가격 경쟁력도 밀리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코발트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배터리 소재의 탈 중국화가 이뤄진다면 재료비를 줄임으로서 원가 절감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1007760.html

 

중, 콩고서 배터리 주원료 ‘코발트 장악’…미, 공급망 교란 우려

콩고민주공화국, 세계 코발트 매장량 절반중 뤄양몰리브덴, 25억1000만달러 추가 투자배터리 수요 폭증 속 코발트 가격도 폭등중, 코발트 가격·배터리 시장까지 좌우할까?

www.hani.co.kr

 

이전 양극재(양극 활물질) 글에서 update 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서두에 이야기 한 켈 함량을 올려 다른 금속의 함량을 낮춘다는 부분이다. 

 

삼원계 양극재는 니켈 비중 60%(NCM622) -> 80%(NCM811) -> 90%(NCA) -> 90% 이상으로 이미 양산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니켈 비중을 올릴 수 있는 부분이 10% 로 정도밖에 없는 상황이다. 

 

폐배터리 재활용(리싸이클) 분야에 관심이 많은데 유럽에서 리사이클을 의무화 한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이 부분도 현재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는 분야로 공부할 예정이다. 

 

 

 

음극재의 실리콘 첨가제의 부작용 중 스웰링(swelling)은 우리나라 말로 붓는다는 것으로 실리콘 첨가제를 사용하면 팽창하는 부작용이 있는 것을 말한다. 

 

https://20200818.tistory.com/31

 

2차전지 산업 공부 #6 - 리튬 이온 배터리 소재 - 도전재

아래는 현재 작성 중인 기업 분석 연습 및 개인의 공부 목적으로 작성 중인 보고서의 일부분이며 매주/매도 추천이 아님을 밝힙니다.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ht

20200818.tistory.com

 

이 부작용을 억제 할 수 있는 첨가제가 CNT 도전재로 아직 음극재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으니 음극재에 실리콘 첨가제 사용이 증가하게 되면 음극재용 CNT도전재 사용 또한 증가하게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