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투자 공부 #2 유튜브 - 직장인 주식투자 노하우 f.바람의숲 김철광 [신과함께 레전드] / 2019년7월 음원

둥이 아버지 2021. 7. 15. 10:37

<내용 요약>

 

처음 교과서 보고 투자. 교과서 공부한 내용을 카페에 올리고 나중에는 스터디 모임을 함

 

보투마 (보수적인 투자자은 마음이 편하다) 카페 운영자

 

1. 배당 할인 모형 (2008년)

 

배당 할인 모형, 처음에 배당주 투자로 시작함. 

멕쿼리 인프라, 한국쉘석유 투자함 -> 배당 투자

 

배당 투자를 했기 때문에 급락때 급락이 없었고, 급락 후 급등이 없엇음. 

2008년 금융위기에 급락 때 계속 매수한 사람은 급등 때 자산이 jump up 

 

2. 포트폴리오 보험 전략

 

95% 배당주, 5% 초위험 투자를 하는 것으로 적합한 투자법이 BW/CW 투자임

 

BW (Bond with Warrant, 신주인수권부사채) : 신주를 살수 있는 권리 (인수권, warrant)가 붙은 사채

 

3. 이벤트가 있는 종목에 투자 (2015 ~ 2016년)

 

 - 이익 모멘텀이 나오는 회사에 집중 매매 (e.g 실적이 잘 나올것 같은 종목에 투자, 월별로 수출 실적이 높은 기업에 투자)

 

4. 매출액이 꾸준하게 늘어나는 기업에 투자 (2017년)

 

많은 사람들이 똑같이 투자를 하니 미리 올라버리고, 실적 발표 후 급락함 

 

이후 매출액이 꾸준하게 늘어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으로 바꿈

 

5. 주식 투자를 해야할 사람, 안 해야할 사람

 

안되는 사람 : 한 가지만 믿고 다른 것을 무시하는 사람

해야할 사람 : 한 가지만 가지고 판단하지 않는 사람

 

6. 시세를 확인하지 않기 위한 노력

 

지금 갖고 있는 종목 : 40~50 종목

매일 시세를 보지 않음. 시세가 사람을 현옥함 -> 뇌동매매로 이어짐

 

어떻게 하면 시세를 안 볼 수 있을까. 장모님께 맞김. 

 

장기투자의 계좌의 경우 앱을 깔지 않음 -> 시스템적으로 마음데로 못하게 만듬

 

나만의 실전투자대회 만들기 (묻어두는 계좌 Vs. 매매하는 계좌)

 

7. 투자 수익의 본질

1) 위험에 대한 보상 : 안전 자산을 버리고 위험 자산인 주식에 투자한 것에 대한 보상

2) 시차에 대한 보상 : 투자한 시간 (e.g 2~3년뒤)에 대한 보상

 

투자에 대한 기간을 분명하게 정해야 한다.

 

8. 주식 투자로 성공한 분들은 행복한가?

 

돈에 대한 철학을 갖추자

 

<전업 투자 관련 내용 생략>

 

9. 시청자 질문

1) 손절 기준 : 3년 기다려서 안되면 손절. 3년 안에 가치가 발현될 것으로 예상. 단 투자 아이디어가 훼손되면 바로 손절

2) 현금 비중 : 총 자산대비 주식 비중 : 60%

3) 미국 주식을 안하는 이유 : 기업의 주담과 통화 할 수 없어서 안삼

4) 투자 전에 해당 기업에 대한 공부는 어떤 프로세스로 하는지? 

이미 15년 이상 투자를 해왔기 때문에 한달에 10종목만 공부를 해도 이미 대부분의 가치투자 종목은 공부를 한 상태임

 

분기별 실적이 좋아질 종목

산업 사이클상 고점으로 갈 종목

IR 공시 확인하여 휴가내고 IR 참석 (최소 한달에 한번 연차 내고 참석) -> 명함 받고 주식 담당과 통화함

주주총회도 가능하면 참석

기업 탐방

 

이렇게 공부 하고나면 주가가 급락했을 때 자신감이 생김. 기회인지 위험인지 판단이 슨다. 

 

직장인은 많은 종목을 공부 할 수가 없다. 

 

5) 투자할 때 국제 정세도 많이 보나? 

거의 안본다

안다고 하더라고 본인의 투자 결정에 어떠한식으로 반영을 해야 할 지 모름. 정세, 시황은 보지 않음. 

 

김프로 Comment : 메크로, 국제 정세, 시황등을 아는 것이 중요한데, 투자를 위해서 아는 것인지, 상식을 넓히기 위해서 공부하는 것인지는 구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6)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되려면 어떤 콘텐츠가 추가되면 좋을까? 

 

다양한 콘텐츠를 보는 것이 중요함. 유료 강의 (유료 독서 클럽, 마케팅 강의 등)

 

7) 주식투자를 안하시는 분들께도 주식투자를 추천하시겠습니까? 

 

자본주의에는 반드시 어떠한 방식으로던 투자를 해야함. 반드시!!!

 

8) 한 종목당 수익률은 어느 정도 목표를 잡으시는지? 

 

보통 100%로 잡는다. 투자수익률을 낮게 잡으면 투자 기간을 짧게 가져가게됨. 

 

너무 스케일이 큰 투자를 하면 안됨. 지금 당장의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기업 등

 

모든 종목이 다 성공 할 수가 없음. 보통 포트폴리오에서 몇 종목이 2~10루타 대박 종목이 나온다. 

 

9) 부동산 매매 (생략)

 

<느낀점>

일단 이렇게 고수 분들이 나오셔서 인터뷰 하시는 영상을 볼때마다 정말 대단하다고 느낀다. 직장인이시면서 직접 IR도 가고 회사의 주식담당에 전화도 하시고 IR, 주주총회에 참석을 하시는 등 직접 공부하시는 것 외에도 정말 많은 노력을 하시는 것 같다. 매일 블로그에 짧던 길던 매일 글을 쓰기로 결심한 만큼 나도 정말 절실하게 시간을 정말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공부를 해야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한다. 정말 절실하게 해야지 어중간한 마음으로 하면 안된다는걸 다시 한번 느낀다. 

 

시세 확인 하는 부분에서 나도 습관적으로 시세를 확인 하곤 하는데 정말 고쳐야될 부분인것 같다. 출퇴근 길 거리에서, 화장실 갈 때, 업무중에 갑자기 생각 날때는 하루에 10번 이상은 확인 한다. 그때마다 팔아야되나 사야되나 등등 많은 잡 생각이 나는데, 꼭 고쳐야 할 부분으로 어떻게 고칠지는 앞으로 차근 차근 생각하고 나만의 방법을 잡아야 겠다. 

 

돈에 대한 철학은 정말 중요한 이야기인데, 나도 막연하게 돈 많이 벌어서 부자되자 라는 생각만 하고 다른 생각은 해본적이 없다. 이건 투자를 떠나서 내 인생에서 돈에 대해서 정말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투자에서 메크로, 국제 정세, 시황 등은 본인의 투자 아이디어가 무엇이었는지, 왜 투자를 하게 되었는지에 따라서 메크로 경제 상황을 어떻게 내 투자 결정에 반영을 하게 될지가 달라질 텐데, 나에게는 아직까지는 좀 막연한 이야기라 추후 다시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다. 

 

다시 한번 느끼지만 투자에서 정말 목표하는 돈, 수익률을 내려면 남들보다 더 노력해야하고, 절실해야하고, 있는 시간 없는 시간, 잠을 줄여서라도 공부해야 한다는걸 다시 한번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