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현금흐름표 중 영업활동현금흐름에 대해서 공부하였는데, 오늘은 복습할 겸 현금흐름표 전반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우선 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s)를 다시 한번 정리하면
-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 특정 시점
- 손익계산서 (Income sheet) : 일정 기간
- 현금흐름표 (Cash Flow sheet) : 일정 기간
지난번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다뤘던 내용을 복습하자면 발생주의 기반으로 작성한 손익계산서에 이익 및 손실이 반드시 기업의 현금 유입 및 유출이라고 볼 수 없다.
현금흐름표에는 아래 3가지 현금흐름이 있으며, +,- 인 경우를 몇가지 예시를 기입하였다.
1. 영업활동현금흐름
기업의 영업 활동으로 인해서 이익이 발생하였다면 영업활동현금흐름에 +가 된다. 하지만 재고자산 또는 매출채권이 증가하여 당기손이익보다 크게 된다면 영업활동현금흐름은 결국 -가 된다.
기업의 현금흐름표를 분석할 때는 다년간의 현금흐름의 양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당기손이익+/영업활동현금흐름-가 한 분기에 발생한 것을 가지고 기업의 재무안정성이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장기간 당기손이익은 +이나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이거나 당기손이익보다적을 경우 영업활동현금흐름에 마이너스 요소인 재고자산과 매출채권의 관리가 잘 이뤄졌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재고자산이 계속 쌓여 간다면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는 이야기이며, 매출채권이 쌓여 간다는 것은 판매한 대금 회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영업활동현금흐름을 검토 시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의 회전율을 함께 검토하여 기업 경영의 문제 또는 분식회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부분은 추후 공부하여 기록하도록 하겠다.
매출채권으로 당기순이익이 +이나 현금 유입이 없어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를 흑자도산 또는 흑자부도라고 한다.
2. 투자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말그대로 투자 (e.g 장비 구입, 라인 증설을 위한 토지 구입 등)가 이뤄진 경우 -이며, 자산 매각을 하여 현급이 유입되었따면 투자활동현금흐름은 +가 된다.
단순하게 투자활동현금흐름이 -라고 해서 기업에서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할 수는 없다. 산업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투자가 필요한 경우는 그만큼 자금이 지속적으로 투입된다는 것이며 투입된 자금이 반드시 이익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오히려 설비와 장비가 새로 투입 또는 업그레이드가 필요 없음에도 지속적으로 이익이 발생하는 기업이 더 좋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이 -인 경우 세부내역에서 유형자산 증가를 보면 설비, 장비 등에 투자를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주의 할 점은 재무상태표의 비유동자산에 유형자산이 있는데, 투자활동현금흐름의 유형자산 증가 금액이 반드시 비유동자산의 유형자산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처음 설명한 발생주의, 현금주의에 따라 1:1 매칭이 아니다.
뚜벅이 생활을 탈피하기 위해서 본인에게 투자한다는 명목으로 1200만 원자리 자동차를 12개월 할부로 샀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내 자산(유형자산)에 1200만원 자동차가 추가될 것이나, 실제 그 달 내 통장에서 빠져나가는 금액은 100만 원 + 할부 이자 일 것이다. 나도 이해하기 쉽게 예를 하나 든 것이며 이것 말고도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뭐 그다음 감가상각...... 은 아직 공부를 하지 못해서 다음번에........(재무 3표의 작성법에 따른 차이 및 서로의 관계가 아직 머릿속에 딱 자리잡지 못하여 계속 헷갈린다ㅜㅜ. 확실하게 자리 잡을 때까지 계속 보는 수밖에)
자산 매각으로 투자활동현금흐름이 +가 되는 경우 반드시 자산 매각한 이유가 무엇인지, 매각하여 발생한 현금으로 무엇을 계획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다시 한번 자동차 예로 돌아가면, 2년 있다가 중고차로 1000만 원에 판매했다고 하자. 이 돈으로 돈을 추가하여 부동산 갭 투자를 할 수도 있고, 주식에 투자할 수도 있고, 개인 능력 향상을 위해서 강의를 들을 수도 있는 반면에 이자 0인 보통 통장에 묶혀 둘 수도 있고, 돈 생겼다고 좋아서 친구들이랑 흥청망청 써버릴 수도 있다. 물론 내 이야기는 아니다.
3. 재무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은 기본적으로 빚 (이자 포함)의 증감에 따라서 재무활동현금흐름도 증감한다. 여기에 추가로 배당금 지급, 법인세 납부 등이 재무활동현금흐름에 - 요소이다. 재무활동현금흐름에서 사채의 증가/감소가 있는데, 처음에는 기업의 신용도가 너무 낮아서 말 그대로 사채를 쓰는 경우를 말하는 줄 알았다..... 이것은 아니고 앞에 "회"를 붙이면 회사채가 된다. 즉, 채권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혹시 무지한 나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봐서.....
다시 한번 자동차 구입의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처음 1200만 원 구입지 사용한 12개월 할부가 부채로 잡혀서 재무활동현금흐름에 +요인이 된다. 그리고 매달내는 할부 이자도 +요인이 된다.
이전에 부채율에 대해서 공부하고 기록했었는데, 부채도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서 1200만원 자동차 구매 시 불법 사채 이자 40%짜리 대출을 받은 경우와 단순 12개월 카드 할부를 사용한 경우는 천지차이 일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20200818.tistory.com/13
투자공부 #6 / 재무제표 공부 #4 - 안정성 지표 (부채관련)
지난번 유보율에 이어서 오늘도 재무제표의 안전성 지표를 공부하였다. 재무제표의 수치들을 통해서 계산된 지표는 안전성, 성장성, 수익률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된다. 안전성 지표는 기업이
20200818.tistory.com
순현금흐름, 잉여현금흐름이라고 말하는 FCF (Free Cash Flow)의 계산법이 별도로 있는데 쉽게 영업활동현금흐름 - 투자활동현금흐름 라고 우선 이해하고 추후 공부하고 상세한 사항을 기록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영업활동현금흐름+,투자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잉여현금흐름+ 이고, 영업활동현금흐름이 투자활동현금흐름을 충분히 커버하는 수치 이상인 경우에 기업의 자본적 지출 현금흐름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우량한 기업으로 본다고 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경우이며, 각 현금흐름이 +,- 인 경우에 따라서 총 8가지에 대해서 이런 이런 기업이라고 설명되어있는 것을 검색하여 찾을 수 있었는데, 각 기업의 상황이 다르니 참고용으로만 보면 될 것 같다.
기업의 목적은 결국 수익 창출이며, 이 수익이 단순 장부상의 수익이 아니라 현금의 창출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장기적으로 영업활동현금흐름과 순현금흐름이 +이고 우상향 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기업의 정량적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한다.
'재무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공부 #7 - 매출/매출원가/매출총이익/PSR (0) | 2021.09.06 |
---|---|
재무제표 10년치 검색 및 정리하는 방법 (0) | 2021.08.09 |
재무제표 공부 #5 - 재무상태표 (0) | 2021.07.26 |
투자공부 #6 / 재무제표 공부 #4 - 안정성 지표 (부채관련) (0) | 2021.07.24 |
재무제표 공부 #3 - 안정성 지표 (유보율)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