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재무제표 공부 #1 - 손익계산서

둥이 아버지 2021. 7. 19. 22:02

오늘은 재무제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한다. 아래 내용은 유튜브 이데일리TV 대박친구 공식채널의 [주식] 2시간만 공부하면 재무제표 볼 줄 안다! (1탄. 손익계산서)를 보고 공부한 내용을 한 기업을 예시로 들어 정리 한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uImP3E5r0mA&t=572s

 

재무제표는 크게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가 있다. 이 중에 현금흐름표는 주식투자에 크게 의미가 없다고 한다. 주식 투자에서 유심히 봐야 할 부분은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 그리고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를 바탕으로 계산된 여러 재무 지표 (e.g ROE, etc)가 있다. 

 

기업의 손익계산서는 여러 사이트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 나는 그중에서 CompanyGuide를 참고하였다. 배운 내용을 바로 확인 하고자 내가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기업의 손익계산서를 Sample로 가져왔다. 

CompanyGuide 캡쳐

기업의 매출액 = 수익

당기순이익 = 매출 - 비용, 즉 기업의 마진이다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매출액 = 매출총이익률 → 높으면 높을 수록 좋다. 그만큼 매출대비 이익이 많이 남는다는 말이니까

 

강의에 따르면 워런버핏은 매출총이익률이 40% 이상 (최소 5년이상 지속)이 되어야 우량 기업으로 본다고 하며, 강의자에 따르면 30~40%면 꽤 높은 편이라고 한다. 

 

CompanyGuide에선 친절하게 이러한 지표에 대해서 재무비율에서 별도로 확인이 가능하다. 

CompanyGuide 캡쳐

Sample 기업을 살펴보면 매출총이익율이 평균 30% 이상이기 때문에 매출총이익률만 본다면 우량기업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 

 

판매비와 관리비 (영업비용) = 인건비, 연구개발, 광고비 등

+영업외수익 (-이자비용+금융수익)-영업외비용(-자사처분손실+자산처분이익)

 

기본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기업일 수록 우량한 기업으로 볼 수 있다. 

 

Sample 기업의 컨센서스를 보면 2018~2020과 2021 ~ 2023 (E)의 연간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확인 할 수가 있다. (E는 Estimate로 추정치이다)

CompanyGuide 캡쳐

Sample 기업의 매출액, 역업이익, 당기순이익 추이를 보면, 2018~2019 하락세에 2019년 영업이익 적자전환 후 2020년 다시 증가하여 2020년 흑자 전환하였다. 그리고 증권사 컨센서스를 보면 2021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추정치가 2020년 보다 무려 6배 (600%)가 증가 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Sample 기업은 산업 사이클을 타는 경기 민감주로 사이클에 따라서 회사의 실적이 증가 했다 낮아지는 것을 손익계산서 및 컨센서스를 보고 확인 할 수 있었다. 

 

오늘 공부한 내용으로만 보았을 때 관심 기업의 손익계산서상으론 실적이 좋아지고 있는 기업으로 판단하며, 앞으로 공부 할 내용을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분석할 것이다.